반응형

  오늘 저널리즘 토크쇼에서는 교육 보도의 민낯을 공개하며 정보제공일까? 장삿속일까?에 대해 보도했습니다.

  기자들의 취재와 전문가 패널들의 토크를 통해 한국 언론 보도의 현주소를 들여다보는 KBS 1TV 저널리즘 토크쇼 J가 18일 방송에서 사교육을 조장하고 대학의 서열화를 부추기는 교육 보도의 이면을 파해쳤습니다.

  지난 15일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한국 사회의 교육열의 정점에 있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졌습니다. 전 국민의 관심사이자 가장 큰 행사 중 하나인 이날을 위해 출근시간을 늦추고 수능 수송 작전이 펼쳐지는 등 해마다 진풍경이 펼쳐지고 있지만 한편에서는 과열된 교육열로 인한 입시비리, 입시비극이 끊이지 않고 있어 입시제도를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최근 벌어진 숙명여고 전 교무부장의 시험지 유출 사건은 단적인 예라고 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문제로 꼽히는 저출산, 양극화, 치솟는 아파트값 문제 역시 현재의 비정상적인 교육 문제가 원인 중 하나입니다. 그렇다면, 곯을 대로 곯은 교육문제에 대해 언론은 어떻게 다루고 있을까? 입시철만 되면 언론에서는 수능 관련 보도가 봇물을 이룬고 수험생들이 막바지 점수를 높이는 비법이나 컨디션을 관리하는 방법, 입시 관리하는 방법, 입시 전문가들의 조언을 담은 보도들이 대표적. 수능을 앞두고, 언론들은 일제히 앞다퉈 수능 기사들을 쏟아닙니다. 그런데 수험생과 학부모들에게 입시 정보를 알린다는 명분으로 작성된 이 같은 기사들의 실상은 사교육 업계 관계자들의 인터뷰나 제품 홍보를 위한 위한 노골적인 기사형 광고들이 대부분이다라고 합니다. 입시 장사에 빠진 언론들은 정작 입시비리를 낳고 있는 교육제도의 근본적인 문제를 짚는 데는 소홀하다는 지적이며 숙명여고 시험지 유출 사건을 다룬 언론보도는 교육 문제마저 사건사고처럼 전달하는데 그쳤을 뿐 공정한 경쟁의 근원인 대학 서열화 격차 등의 구조적 문제를 짚은 언론은 거의 없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KBS 송수진 기자는 조선에듀가 발송했다는 프리미엄 회원 광고 제안서를 공개했는데 한 온라인 매체가 보도한 기사를 바탕으로 소개한 것이라고 합니다. 여기에는 학원들이 언론사의 지면을 얻기 위해 로비를 하는 내용이 나고 사실상 공공연한 거래시장이 있는 것이 확인된 셈인데 자세히 보면 온라인과 지면, 그리고 두 가지를 묶는 프리미엄 패키지로 나눈 단가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온라인은 주요 기사 6회, 기획기사 12회, 배너광고 6개월로 해서 1320만 원이고 지면은 기획기사 1회, 중간 박스 기사 1회, 알립니다 1회로 각각 1500만 원, 900만 원, 300만 원이라고 합니다. 한데 묶어서는 2000만 원에 해당되는데 송수진 기자는 다른 언론사도 대동소이할 것으로 봤다고 합니다. 팟캐스트 진행자 최욱 씨는 이 정도면 홈쇼핑 수준이라고 수준이라고 말해 패널들에게 웃음을 줬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